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638

고용보험료 납부기준 4대보험 중의 하나인 고용보험료의 납부기준은 고용보험법에 따라 고용보험 및 산업재해보상보험의 보험료징수 등에 관한 법률에 명시되어 있다. 법률 13조에 따라 근로자가 부담하여야 하는 고용보험료는 자기의 보수총액에 실업급여 보험료율의 2분의 1을 곱한 금액으로 한다. 라고 되어있다. 즉 보수총액 X 실업급여의 보험료율 X 50% 인 것이다. 그럼 실업급여의 보험률을 보기 위해 14조를 보면 고용보험료율은 보험수지의 동향과 경제상황 등을 고려하여 1000분의 30의 범위에서 고용안정ㆍ직업능력개발사업의 보험료율 및 실업급여의 보험료율로 구분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라고 되어있다 그러니 대통령령을 보라는 것이다 . 이 대통령령에는 실업급여의 보험료율이 1000분의 18. 즉 1.8%로 명시되어 있다. 그리고 이.. 2022. 1. 25.
국민연금보험료 납부기준 국민연금은 도대체 무슨 기준으로 얼마나 내고 있는 것일까? 직장인이라면 국민연금보험료를 매월 납부한 후 급여를 받는다. 국민연금을 직접 받을 수 있는 나이는 아직 멀은 것 같고 법이 바뀌는 것도 보면 점점 수령 나이가 멀어지는 것 같다. 일단 내가 얼마를 어떤 기준에 의하여 납부하는지 알아보자. 비용 부담 및 연금보험료의 징수 먼저 국민연금법 88조에 의하여 기준소득월액의 1천 분의 45에 해당하는 금액을 부과. 징수하게 되어있다. 1천 분의 45 임으로 즉 4.5%이다. 그럼 기준소득월액은 무엇인가? 국민연금법 제3조에 소득월액을 기준으로 하여 정하는 금액이라고 한다. 기준 소득월액을 기준으로 4.5%의 금액을 징수한다고 하는 데 시행령으로 보건복지부 장관이 상한 과 하한을 정할 수 있게 되어있다. 즉.. 2022. 1. 21.
최신 근로소득 간이세액표 다운로드방법 근로소득 간이세액표는 매년 소득세법에 따라 개정되어 바뀐다. 매년 개정되는 근로소득 간이세액표를 다운받는 방법 그리고 이 표는 언제 쓰이는 것인가? 근로소득 간이세액표란? 근로소득 간이세액표가 무엇인 지 생소하다면 바로 이 근로소득 간이세액표에 따라 근로하는 회사에서 세금을 떼어 근로자에게 지급한다. 즉 원천세의 하나이다. 소득세법 89조에 따라 매월분의 근로소득에 대하여 간이세액표를 적용하는 것이다. 근로소득 간이세액표 다운로드 방법 1 최신 개정의 근로소득 간이세액표는 개정법을 보면 알 수 있다. 소득세법 시행령 별표2에 매년 업데이트 되는 것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아래의 첨부화일이 2022년 기준 법제처의 있는 내용이다. 근로소득 간이세액표 다운로드 방법 2 홈택스에서 다운로드 받는 방법이다. 홈.. 2022. 1. 20.
2022년 건강보험료 계산 - 보수월액 건강보험료는 어떻게 계산이 되어지는 것일까? 직장인의 경우 급여명세서에서 자동으로 차감되는 건강보험료 금액이 어떻게 계산되는 것인 지 궁금했을 수도 있다. 직장가입자의 보험료는 본인의 급여에 따라 보험료가 산정되고 이 또한 최대 부과할 수 있는 금액이 정해져 있다. 또 여기에 장기요양보험료 명목으로 산정된 건강보험료에 일정 %를 곱한 금액도 추가로 부담하게 되어있다. 건강보험법을 보면 보수월액 보험료와 소득월액 보험료가 있는 데 직장인의 경우 보수월액 보험료를 내게 되고 소득월액 보험료는 급여 외에 보수 외 소득이 일정 이상(급여를 제외한 연소득 3400만 원) 일 경우 추가로 납부하는 것이다. 즉 급여외의 특별한 수입이 있지 않은 경우 보수월액 보험료가 직장인이 내는 건강보험료라 할 수 있다. 그럼 건.. 2022. 1.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