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지방자치단체19

국민내일배움카드 신청방법 국민내일배움카드는 고용노동부에서 제공하는 직업능력개발 지원 제도로, 구직자, 재직자, 자영업자 등 다양한 분들이 직업 훈련을 통해 새로운 기술을 습득하고 경력을 발전시킬 수 있도록 돕습니다. 이 카드를 통해 훈련비의 45%에서 85%까지 지원받을 수 있으며, 일부 대상자는 최대 500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주요 혜택: • 다양한 교육 과정 선택: IT, 디자인, 요리, 뷰티, 경영 등 다양한 분야의 교육 과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 온·오프라인 학습 지원: 바쁜 일정으로 인해 교육기관을 방문하기 어려운 분들을 위해 온라인 강의도 제공되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학습할 수 있습니다. • 취업 연계 프로그램 제공: 이력서 작성, 면접 준비, 채용 정보 제공 등 다양한 취업 지원 서비스.. 2025. 2. 13.
지방의회에서 하는 일 지방의회의 역할과 기능 지방의회는 지방자치단체의 의결기관으로서, 지방자치단체의 정책과 행정을 심의·결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지방자치법에 따라 지방의회는 조례를 제정하고, 예산을 심의하며, 행정 집행을 감시하는 등의 권한을 가집니다. 1. 지방의회의 주요 기능 ① 조례 제정 및 개정 • 지방정부(지방자치단체)의 법률인 조례(條例) 를 제정·개정·폐지할 수 있음. • 조례는 지방자치단체의 행정 운영과 주민 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 • 예: 쓰레기 처리 조례, 공공시설 이용 요금 조례 등 ② 예산 심의·확정 및 결산 승인 • 지방자치단체장이 제출한 예산안 을 심의하고 확정. • 지방세와 세외수입, 국고보조금 등을 포함한 지방재정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검토. • 회계연도가 끝난 후, 집행된 예산이.. 2025. 2. 8.
입법예고란? 입법예고란?국회 입법예고에 관한 규칙을 보면 입법예고를 하게 되어 있고.입법예고(立法予告, Legislative Notice)는 법률, 대통령령, 총리령, 부령 등의 제정·개정·폐지를 할 때, 그 내용을 미리 국민에게 알리고 의견을 수렴하는 절차입니다. 이는 국민의 권리와 의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법령이 투명하고 민주적인 방식으로 제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과정입니다.  입법예고의 목적 1. 국민 참여 보장: 법안에 대한 국민과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수렴하여 반영할 수 있도록 함. 2. 법령의 예측 가능성 확보: 법 개정 및 제정 내용을 미리 공지하여 국민과 기업이 대비할 수 있도록 함. 3. 입법의 정당성 강화: 다양한 의견을 반영함으로써 법령의 타당성과 수용성을 높임. 4. 입법의 품질 향상: .. 2025. 2. 8.
최저임금의 변화 - 최저임금 고시 2025 (2018년 비교) 대한민국의 최저임금은 고용노동부에서 공식적으로 고시하며, 관련 정보는 고용노동부 공식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고용노동부의 훈령. 예규, 고시에서 최저임금으로 검색하면 최저임금 고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5년 최저임금 2025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적용되는 최저임금은 시간당 10,030원으로 결정되었습니다. 이를 주 40시간 근무 기준으로 월급으로 환산하면 약 2,096,270원입니다.   https://www.moel.go.kr/info/lawinfo/instruction/list.do 고용노동부전체 3,321 10건 보기 20건 보기 30건 보기 40건 보기 50건 보기 보기www.moel.go.kr   2018년 최저임금과의 비교 2018년의 최저임금은 시간당 7,530원.. 2025. 2.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