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방자치단체

아파트 난방비 인상 (산업통상자원부)

by yesmu4 2025. 3. 20.
반응형

연도인상 시기인상률 비교

 

한국지역난방공사와 산업통상자원부의 자료를 통해 최근 몇 년간의 열요금 인상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관련 정보를 정리한 표입니다.

 

연도인상 시기인상률 비교

2022년 4월 1일 2.35% 도시가스 요금 인상에 따른 연동 
2022년 7월 1일 7% 전년도 연료비 정산 결과 반영 
2022년 10월 1일 9.53% 도시가스 요금 인상에 따른 연동 및 2021년 연료비 정산 반영 
2023년 7월 1일 9.53% 연료비 상승 및 2022년 연료비 정산 반영 
2024년 7월 1일 9.53% 연료비 상승 및 2023년 연료비 정산 반영 

 

 

이처럼 최근 몇 년간 열요금은 연료비 상승과 도시가스 요금 인상에 따라 주기적으로 인상되었습니다. 특히, 국제 에너지 가격의 변동과 환율 등의 외부 요인이 열요금 인상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열요금 상승은 가계의 난방비 부담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이에 따라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단열재 보강, 고효율 보일러 설치, 스마트 온도 조절기 사용 등을 통해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정부와 지자체는 취약계층을 위한 에너지 비용 지원 정책을 마련하여 난방비 부담을 완화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국제 에너지 시장의 변동성과 국내 에너지 정책에 따라 열요금은 변동될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관심과 대응이 필요합니다.

 

 

 

 

 

https://yesmu4.tistory.com/368

 

난방비 책정과 원리 (열요금)

난방비는 어떻게 책정되는 것인가. 난방비 폭탄이라는 말이 생길 정도로 치솓았던 난방비의 원인은 공급단가가 올라서이다. 갑자기 이번겨울부터 올린 것이 아니라 사실 난방비는 2022년 3월부

yesmu4.tistory.com

 

 

아파트 난방비 인상 원인

최근 아파트 난방비 인상은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주요 원인과 관련 자료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국제 에너지 가격 상승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인해 액화천연가스(LNG) 등 국제 에너지 가격이 급등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한국가스공사의 미수금이 증가하였고, 이를 해소하기 위해 2022년에 주택용 가스 요금이 네 차례 인상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2022년 3월 메가줄(MJ)당 14.22원이던 주택용 가스 요금이 10월에는 19.69원으로 약 38.5% 상승하였습니다.

2. 한파로 인한 난방 수요 증가 2022년 12월과 2023년 1월에 한파가 발생하여 난방 수요가 증가하였습니다. 기상청 집계에 따르면, 1월 수도권 평균 기온은 -1.4도로 평년보다 1도가량 높았지만, 기온이 크게 떨어졌다 오르기를 반복하는 등 변동 폭이 컸습니다. 이러한 급격한 기온 변화로 인해 난방 사용량이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난방비도 상승하였습니다.

3. 아파트 단열 성능 및 설비 노후화 아파트의 단열 성능과 설비 노후화도 난방비에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1970년~1990년대에 준공된 구축 아파트는 단열재 두께가 얇아 에너지 효율성이 낮습니다. 예를 들어, 2000년 이전에는 외벽 단열재 두께가 50mm였지만, 2018년 9월 이후에는 190mm로 증가하였습니다. 따라서 노후 아파트일수록 난방비가 더 많이 나올 수 있습니다.

난방비 측정 기준과 요금 확인 방법

아파트 난방비는 주로 다음 두 가지 방식으로 측정됩니다:

  • 유량계 방식: 난방수의 사용량(유량)을 측정하여 요금을 부과하는 방식입니다.
  • 열량계 방식: 난방수의 입구와 출구 온도 차이와 유량을 함께 측정하여 실제 사용한 열량에 따라 요금을 부과하는 방식입니다.
  • 피커스 - 자원 재활용 기준의 시작

자신의 아파트 난방비 및 관리비 내역을 확인하려면 다음과 같은 방법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 공동주택관리정보시스템(K-apt): 국토교통부에서 운영하는 이 시스템을 통해 전국 아파트의 관리비 및 에너지 사용량을 조회하고 비교할 수 있습니다.
  • 리빙센스
  • 아파트아이(www.apti.co.kr): 아파트 관리비 청구서 조회 및 납부 서비스를 제공하며, 전기, 수도, 온수, 난방, 가스 등 항목별 에너지 사용량을 비교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