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금정보

근속연수와 퇴직금에 따른 소득세 계산

by yesmu4 2025. 2. 13.
반응형

근속연수와 퇴직금에 따른 소득세 계산 방법

퇴직금은 근로자가 일정 기간 동안 근무한 후 퇴직할 때 지급받는 금액으로, 소득세가 부과됩니다. 퇴직소득세를 계산하는 방법은 다소 복잡하지만, 기본 개념을 이해하면 누구나 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근속연수와 퇴직금에 따른 소득세 계산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1. 퇴직소득세 계산 공식

퇴직소득세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됩니다.

① 퇴직소득금액 계산 퇴직소득금액 = 퇴직금 - (근속연수 × 120만 원)

② 퇴직소득과세표준 계산 퇴직소득과세표준 = 퇴직소득금액 × (1 - 연분연승공제율)

연분연승공제율은 근속연수에 따라 다르며,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적용됩니다.

  • 5년 이하: 30%
  • 10년 이하: 50%
  • 20년 이하: 70%
  • 20년 초과: 80%

③ 세율 적용 후 산출세액 계산 퇴직소득세 = (퇴직소득과세표준 ÷ 근속연수) × 세율 × 근속연수

세율은 종합소득세율과 비슷하지만, 퇴직소득세는 누진세율을 적용하여 부담을 줄이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2. 퇴직소득세 계산 예시

예제:

  • 근속연수: 15년
  • 퇴직금: 1억 원

① 퇴직소득금액 계산

퇴직소득금액 = 1억 원 - (15년 × 120만 원) = 1억 원 - 1,800만 원 = 8,200만 원

② 퇴직소득과세표준 계산

근속연수가 15년이므로 연분연승공제율은 70% 적용 퇴직소득과세표준 = 8,200만 원 × (1 - 0.7) = 8,200만 원 × 0.3 = 2,460만 원

③ 세율 적용 후 퇴직소득세 계산

퇴직소득과세표준을 근속연수로 나눈 후 세율 적용

  • 2,460만 원 ÷ 15년 = 164만 원
  • 종합소득세율 (164만 원 구간 적용): 6%

퇴직소득세 = 164만 원 × 6% × 15년 = 9.84만 원 × 15 = 147.6만 원

최종적으로 납부해야 할 퇴직소득세는 약 148만 원입니다.

 

 

 

 

 


3. 퇴직소득세 절세 방법

① 퇴직연금 활용

퇴직금을 일시금으로 받지 않고 연금 형태로 수령하면 세금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② 추가 공제 항목 확인

장기근속자, 장애인, 중소기업 근로자 등에 대한 추가 공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③ 세무 전문가 상담

개별적인 소득 구조에 따라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있으므로 전문가의 조언을 받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4. 결론

퇴직소득세는 근속연수와 퇴직금에 따라 다르게 계산되며, 기본적인 계산 방식을 이해하면 예상 세액을 미리 파악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절세 방법을 적극 활용하면 불필요한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퇴직을 앞둔 분들은 퇴직소득세 계산을 미리 해보고, 세무 전문가의 조언을 받아 절세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1년일하고 1천만원 퇴직금 받으면 세금 50만원.

4년 일하고 5천만원 퇴직금 받으면 세금 336만원....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