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최저임금은 고용노동부에서 공식적으로 고시하며, 관련 정보는 고용노동부 공식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고용노동부의 훈령. 예규, 고시에서 최저임금으로 검색하면 최저임금 고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5년 최저임금
2025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적용되는 최저임금은 시간당 10,030원으로 결정되었습니다. 이를 주 40시간 근무 기준으로 월급으로 환산하면 약 2,096,270원입니다.
https://www.moel.go.kr/info/lawinfo/instruction/list.do
고용노동부
전체 3,321 10건 보기 20건 보기 30건 보기 40건 보기 50건 보기 보기
www.moel.go.kr
2018년 최저임금과의 비교
2018년의 최저임금은 시간당 7,530원이었습니다. 이를 월급으로 환산하면 약 1,573,770원이었습니다.
2018년부터 2025년까지의 최저임금 변화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2018년: 7,530원
• 2019년: 8,350원
• 2020년: 8,590원
• 2021년: 8,720원
• 2022년: 9,160원
• 2023년: 9,620원
• 2024년: 9,860원
• 2025년: 10,030원
이를 통해 2018년부터 2025년까지 최저임금은 약 33.2% 상승하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승은 근로자의 생활 안정과 소득 향상을 위한 정책적 노력을 반영한 결과로 볼 수 있습니다.
최저임금 위원회
최저임금위원회는 대한민국 고용노동부 소속 기관으로, 최저임금에 관한 심의 및 그 밖의 중요 사항을 결정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위원회는 근로자위원, 사용자위원, 공익위원 각 9명씩 총 27명으로 구성되며, 매년 최저임금 수준을 심의·의결합니다.
지난 25년간 대한민국의 최저임금 변화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적용 연도시간당 최저임금 (원)전년 대비 인상률 (%)
2000 | 1,865 | 16.6 |
2001 | 2,100 | 12.6 |
2002 | 2,275 | 8.3 |
2003 | 2,510 | 10.3 |
2004 | 2,840 | 13.1 |
2005 | 3,100 | 9.2 |
2006 | 3,480 | 12.3 |
2007 | 3,770 | 8.3 |
2008 | 4,000 | 6.1 |
2009 | 4,110 | 2.75 |
2010 | 4,320 | 5.1 |
2011 | 4,580 | 6.0 |
2012 | 4,860 | 6.1 |
2013 | 5,210 | 7.2 |
2014 | 5,580 | 7.1 |
2015 | 6,030 | 8.1 |
2016 | 6,470 | 7.3 |
2017 | 7,530 | 16.4 |
2018 | 8,350 | 10.9 |
2019 | 8,590 | 2.87 |
2020 | 8,720 | 1.5 |
2021 | 9,160 | 5.05 |
2022 | 9,620 | 5.0 |
2023 | 9,860 | 2.5 |
2024 | 10,030 | 1.7 |
이러한 추이를 통해 대한민국의 최저임금은 지속적으로 상승해 왔으며, 특히 2018년과 2019년에 큰 폭의 인상이 있었습니다. 최근에는 비교적 완만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https://www.minimumwage.go.kr/minWage/policy/decisionMain.do
main | 최저임금위원회
연도별 최저임금 결정현황 2021-2009 2011 ~ 2025 2001 ~ 2010 1988 ~ 2000 검색 연도별 최저임금 결정현황 (단위:원, %) 연도별 최저임금 결정현황 적용연도, 시간급, 일급(8시간 기준), 월급(209시간 기준,고시
www.minimumwage.go.kr
'지방자치단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방의회에서 하는 일 (0) | 2025.02.08 |
---|---|
입법예고란? (0) | 2025.02.08 |
아파트 관리비 내리기 길라잡이 책 (0) | 2025.01.23 |
아파트 전기세 전기료 조회 (세대전기료) (0) | 2025.01.23 |
김포 콜택시 어플 (0) | 2024.07.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