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ac 컴퓨터 팁

구글 맵 정리법 - 라벨과 목록

by yesmu4 2023. 7. 2.
반응형

구글 맵에는 라벨과 목록으로 원하는 장소를 저장할 수 있게 되어있다. 

 

 

1. 목록으로 저장 

구글 맵의 목록으로 저장하는 경우 원하는 장소를 선택한 후 저장 버튼을 누르면 원하는 목록에 장소를 저장해 줄 수 있다. 

두 개 이상의 목록에 중복 저장도 가능하고 저장된 장소를 지우고 싶으면 '저장됨' 아이콘을 다시 클릭해 주면 된다, 

목록의 저장이름은 구글의 장소이름으로 저장됨으로 저장 시 관련 장소에 메모를 남겨주는 것이 좋다. 

같은 장소에 다른 목록으로 이동할 때는 메모가 사라짐으로 메모를 다시 남겨주어야 한다. 

 

 

 

 

2. 라벨로 저장

 

특정장소를 구글맵에서 라벨로 저장하는 방법은 원하는 장소를 선택한 후 우측 햄버거 버튼을 누른 후 라벨 추가를 하면 된다. 

이 목록과 라벨은 모두 어플 하단에 저장됨 목록에서 볼 수 있다. 

 

 

 

3. 목록과 라벨의 차이점 

 

목록과 라벨에 가장 큰 차이점은 목록은 리스트를 만들어 각각의 리스트 카테고리 안에 목록을 저장할 수 있는 반면 라벨은 비슷하지만 아이콘이 다르다. 

 

목록(Listings): 구글맵의 목록은 실제로 존재하는 비즈니스, 장소 또는 기타 관심 지점들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레스토랑, 호텔, 상점 등이 목록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 각 목록은 주소, 전화번호, 영업시간, 리뷰 등과 같은 관련 정보를 제공합니다. 사용자는 목록을 검색하고 해당 장소에 대한 세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라벨(Label): 라벨은 지도상에 특정 지점을 표시하는 마커입니다. 일반적으로 아이콘, 색상 또는 기호로 표시되어 사용자가 해당 위치를 빠르게 식별할 수 있습니다. 라벨은 구글맵 사용자에게 가시적인 지도상의 지점을 나타내며, 클릭하면 해당 위치에 대한 간단한 정보 또는 링크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목록은 실제로 존재하는 장소나 비즈니스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고, 라벨은 지도상에서 사용자가 특정 지점을 시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HTML 코드를 다룰 줄 알면 목록과 라벨의 아이콘을 바꿀 수 있다고 한다. 

 

 개인적으로 목록으로 원하는 장소를 잘 정리한 다음에 라벨로 특정장소 몇 개만 표시해두는 정도로 사용하는 것이 가장 문안할 것 같다. 

그리고 웹과 어플간에 동기화는 자동으로 가능하나 새로고침을 해줘야 서로 업데이트가 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