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미국 국채 종류 완전 정리: T-Bills, T-Notes, T-Bonds, TIPS, FRNs 차이점은?
안녕하세요, 오늘은 투자자라면 꼭 알아야 할 **미국 국채(U.S. Treasury Securities)**의 종류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미국 국채는 전 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자산으로 여겨지며, 다양한 만기와 형태로 제공됩니다.
금리 변화, 인플레이션 헤지, 포트폴리오 안정화를 고려할 때 꼭 이해해야 할 핵심 개념들이죠.
📌 미국 국채란?
**미국 국채(Treasuries)**는 미국 연방정부가 발행하는 채권으로, 정부가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합니다.
투자자는 일정 기간 동안 국채를 보유하고 이자(또는 할인)를 받으며, 만기에는 원금을 돌려받습니다.
🏛 미국 국채의 종류 정리
종류 만기 이자 방식 특징
T-Bills (국채 할인채) | 1년 이하 | 없음 (할인 발행) | 단기 자금 운용용, 액면가보다 싸게 사고 만기 시 액면가 수령 |
T-Notes (국채) | 2~10년 | 고정 이자 (6개월마다 지급) | 가장 일반적인 중기 국채 |
T-Bonds (장기 국채) | 20년 또는 30년 | 고정 이자 (6개월마다 지급) | 장기 안정성 추구, 연기금·보험사 활용 |
TIPS (물가연동 국채) | 5·10·30년 | 고정 이자 + 원금 물가연동 | 인플레이션 헤지에 최적 |
FRNs (변동금리 국채) | 2년 (주로) | 3개월마다 금리 조정 | 기준금리(13주 T-bill)에 연동, 금리 상승기에 유리 |
📌 하나씩 자세히 알아봅시다
① T-Bills (Treasury Bills)
- 만기: 4주, 8주, 13주, 26주, 52주
- 이자: 없음. 할인 발행 후 만기 시 액면가로 수령
- 예시: $1,000짜리 T-Bill을 $980에 매수 → 만기 시 $1,000 수령 → 이자 $20
📌 주요 특징:
- 단기 금리 지표 역할
- 유동성이 매우 높고 안전성 최고
- MMF(머니마켓펀드), 기관투자자가 자주 매입
② T-Notes (Treasury Notes)
- 만기: 2년, 3년, 5년, 7년, 10년
- 이자: 고정 금리, 6개월마다 지급
📌 주요 특징:
- 가장 활발히 거래되는 국채
- 연준의 금리 정책과 시장 금리의 기준
- ETF(TLT, IEF 등)도 존재
③ T-Bonds (Treasury Bonds)
- 만기: 20년, 30년
- 이자: 고정 금리, 6개월마다 지급
📌 주요 특징:
- 장기 투자자, 연기금, 보험사들이 많이 보유
- 금리 변화에 가장 민감 (Duration ↑)
- 물가 안정 시기에 유리
④ TIPS (Treasury Inflation-Protected Securities)
- 만기: 5년, 10년, 30년
- 이자: 고정 금리이지만 원금이 물가(CPI)에 따라 조정됨
📌 주요 특징:
- 인플레이션 상승 시 실질 수익률 보호
- 디플레이션에는 불리할 수 있음
- IRA나 장기 연금 포트폴리오에 유용
⑤ FRNs (Floating Rate Notes)
- 만기: 보통 2년
- 이자: 3개월마다 조정, 기준은 13주 T-Bill 수익률 + 스프레드
📌 주요 특징:
- 금리 인상기에는 수익률 자동 상승
- 변동성은 낮고, 유동성은 높음
- 채권형 ETF에 포함되기도 함
🔍 국채 종류별 핵심 요약
항목 T-Bill T-Note T-Bond TIPS FRN
만기 | 1년 이하 | 2~10년 | 20~30년 | 5~30년 | 2년 |
이자 | 할인 발행 | 고정 | 고정 | 고정 + 물가 | 변동 |
위험 | 매우 낮음 | 낮음 | 낮음 | 낮음 (인플레 대응) | 낮음 |
민감도 | 금리 민감도 낮음 | 보통 | 매우 높음 | 물가 민감 | 단기 금리 민감 |
📈 어디서 거래할 수 있나?
- 브로커: IBKR, Charles Schwab, Fidelity, 한국의 증권사 (해외채권 계좌)
- ETF:
- TLT (20년 이상), IEF (7~10년), SHV (1년 미만), TIP (TIPS), USFR (FRN)
✍ 마무리
미국 국채는 단순한 안전자산이 아닙니다.
시장 금리 흐름, 인플레이션 전망, 포트폴리오 목적에 따라 어떤 국채를 선택할지는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합니다.
반응형
'투자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10년,20년 국채 수익률 확인방법 (0) | 2025.05.21 |
---|---|
채권 클린(Clean) 프라이스와 더티(Dirty) 프라이스의 차이 (0) | 2025.05.13 |
주식가격변동의 원리 (1) | 2025.04.29 |
미국 증시 운영 시간 전광판 (실시간 체크) (0) | 2025.04.17 |
오르면 사고, 떨어지면 파는 심리 (1) | 2025.04.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