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입 (로고스)/한국 소주회사가 만든 소주

소주 세금구조 (식당에서 소주가 비싼 이유)

by yesmu4 2025. 3. 1.
반응형

🇰🇷 한국 소주의 세금 구조

 

한국에서 소주를 구매할 때 부과되는 세금은 **개별소비세, 교육세, 부가가치세(VAT)**로 구성됩니다.

소주 한 병을 예로 들어 설명해 볼게요! 🍶

 

1️⃣ 개별소비세

 

📌 개별소비세는 특정 소비품(주류, 담배, 석유 등)에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소주의 경우 알코올 도수에 따라 세율이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72%**가 적용됩니다.

 

💡 예시: 도매가격이 1,000원인 소주 한 병이라면?

🧮 개별소비세 = 1,000원 × 72% = 720원

 

2️⃣ 교육세

 

📌 교육세는 개별소비세의 **30%**로 부과됩니다.

 

🧮 교육세 = 720원 × 30% = 216원

 

3️⃣ 부가가치세 (VAT)

 

📌 부가가치세는 최종 소비자가 부담하는 세금으로, 개별소비세와 교육세를 포함한 금액의 **10%**입니다.

 

🧮 부가가치세 = (1,000원 + 720원 + 216원) × 10% = 193.6원

 

📊 총 세금

 

🔹 개별소비세: 720원

🔹 교육세: 216원

🔹 부가가치세(VAT): 193.6원

✅ 총 세금 = 1,129.6원

 

💰 소주 한 병의 소비자 가격

 

🧮 소비자 가격 = 도매가격 + 총 세금

= 1,000원 + 1,129.6원 = 2,129.6원

 

🏢 판매 회사의 수익

 

판매 회사는 도매가격에서 생산 비용을 뺀 금액을 수익으로 가져갑니다.

 

💡 예시: 생산 비용이 500원이라면?

🧮 판매 회사의 수익 = 1,000원 - 500원 = 500원

 

📌 결론

 

✅ 소비자는 약 2,129.6원을 지불하며,

✅ 이 중 **1,129.6원(약 53%)**이 세금으로 부과됩니다.

✅ 판매 회사는 약 500원의 수익을 가져갑니다.

🇻🇳 베트남에서 한국 소주의 세금 구조

 

 

 

따라서 소주를 구매한다면 구매가격에 반 이상은 나라에 세금을 내는 것이라 보면 된다. 

 

해외 (베트남) 에서 한국 소주가 비싼 이유

베트남에서 한국 소주가 비싼 이유는 수입 세금과 물류 비용 때문이에요. 📦💸

베트남의 세금 구조를 살펴볼까요?

 

1️⃣ 한국에서 내는 세금 (수출 시)

 

🔹 부가가치세(VAT) 면제

🔹 추가 비용: 물류비, 보험, 수출업체 마진

 

💡 예시: 한국에서 도매가격이 1,000원이라면?

🧮 예상 수출 가격 = 1,500원 (약 27,000 VND, 환율 1원 = 18 VND 가정)

2️⃣ 베트남에서 내는 세금 (수입 시)

 

① 관세 (Import Duty)

 

📌 한국산 소주는 한-ASEAN FTA에 따라 관세율 0~20%

💡 예시: 20% 적용

🧮 관세 = 1,500원 × 20% = 300원

 

② 특별소비세 (SCT, Special Consumption Tax)

 

📌 알코올 도수 20% 미만 주류는 35% 적용

🧮 특별소비세 = (1,500원 + 300원) × 35% = 630원

 

③ 부가가치세 (VAT)

 

📌 부가가치세율 10% 적용

🧮 VAT = (1,500원 + 300원 + 630원) × 10% = 243원

📊 총 세금

 

🔹 관세: 300원

🔹 특별소비세(SCT): 630원

🔹 부가가치세(VAT): 243원

✅ 총 세금 = 1,173원

💰 베트남에서의 소비자 가격

 

소비자 가격 = 수출 가격 + 총 세금 + 유통 마진

 

💡 예시: 유통 마진 500원 가정

🧮 소비자 가격 = 1,500원 + 1,173원 + 500원 = 3,173원

🧮 환산: 3,173원 × 18 VND = 57,114 VND

🔍 한국 vs 베트남 소주 세금 비교

📍 구분🇰🇷 한국🇻🇳 베트남

총 세금 1,129.6원 1,173원
소비자 가격 2,129.6원 3,173원 (~57,114 VND)

✔ 베트남에서 한국 소주가 비싼 이유

1️⃣ 높은 수입 세금 (관세, 특소세, VAT)

2️⃣ 물류 비용 (운송·보험 등)

3️⃣ 유통 마진 (현지 판매업체)

4️⃣ 환율 변동 (환율이 높을수록 가격 상승)

📌 최종 결론

 

✅ 베트남에서 한국 소주를 사면 세금과 물류비, 유통 마진이 추가되기 때문에

✅ 한국보다 훨씬 비싼 가격에 판매됩니다! 💰🚀

 

 

식당에서 소주가 비싼 이유 

식당에서 술을 판매할 때 부가가치세(VAT) 외에 별도의 세금이 직접적으로 부과되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식당 운영과 관련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세금이나 비용이 있습니다. 아래에서 세부적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1. 부가가치세(VAT)

  • 식당은 술을 포함한 모든 음식과 음료 판매에 대해 **10%의 부가가치세(VAT)**를 부과합니다.
  • 이 VAT는 최종 소비자가 지불하는 가격에 포함되며, 식당은 이를 정부에 납부해야 합니다.
  • 예: 소주 한 병을 5,000원에 판매할 경우, VAT는 약 455원(5,000원 ÷ 1.1 × 0.1)입니다.

 

2. 소득세

  • 식당 운영으로 발생한 수익(이익)에 대해 소득세가 부과됩니다.
  • 소득세는 식당의 순이익에 따라 달라지며, 사업자 형태(개인사업자 vs 법인)에 따라 세율이 다릅니다.
  • 예: 개인사업자의 경우, 연간 소득에 따라 6%~45%의 누진세율이 적용됩니다.

 

3. 주세 (Liquor Tax)

  • 술을 판매하는 식당은 주세를 직접 내지는 않지만, 주세는 이미 술의 도매가격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 주세는 제조사나 수입업체가 납부하며, 이 비용은 최종적으로 소비자에게 전가됩니다.
  • 예: 소주 한 병의 도매가격 1,000원 중 약 720원이 주세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4. 지방세 (Local Taxes)

  • 식당 운영과 관련해 지방세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 이 세금은 식당 운영 비용의 일부로 간주되며, 간접적으로 술 가격에 반영됩니다.

 

5. 기타 비용 (간접적 영향)

  • 건강증진부담금: 주류 광고나 판촉 활동에 대해 건강증진부담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이 비용은 제조사나 유통업체가 부담하지만, 최종적으로는 소비자 가격에 반영됩니다.
  • 환경 부담금: 일회용 컵이나 빈 병 처리와 관련된 비용이 간접적으로 반영될 수 있습니다.

 

6. 식당에서 술 가격이 비싼 이유 요약

  1. 부가가치세(VAT): 술 판매 가격의 10%가 VAT로 부과됩니다.
  2. 소득세: 식당의 순이익에 대해 소득세가 부과됩니다.
  3. 주세: 술의 도매가격에 이미 포함되어 있습니다.
  4. 지방세: 재산세, 사업소세 등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칩니다.
  5. 운영 비용: 임대료, 인건비, 유틸리티 등이 술 가격에 반영됩니다.

 

결론

식당에서 술을 판매할  부가가치세(VAT) 외에 별도의 세금이 직접적으로 부과되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주세, 소득세, 지방세 등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모든 비용이 최종 소비자 가격에 반영됩니다. 따라서 식당에서 술을 마시는 것은 소매점에서 구매하는 것보다 훨씬 비싼 것입니다.

 

식당에서 소주를 판매한다고 부가세 외에 따로 더 내야 하는 세금은 없다.

따라서 식당에서 시중가보다 소주가 더 비싼 이유는 식당 마진이고 식당에서 술을 먹는 대가로 내는 돈이다. 

 

술 먹고 추한 모습 보이는 데에 대한 비용이라 생각하라. 몸 버리고 시간 버리고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