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심리

디레버리징 청산: 이익을 보더라도 강제 청산되는 시스템

by yesmu4 2025. 2. 26.
반응형

디레버리징 청산: 이익을 보더라도 강제 청산되는 시스템

일반적으로 **강제 청산(Forced Liquidation)**은 손실을 본 투자자가 증거금을 충당하지 못할 때 발생한다. 하지만 특정한 거래 환경에서는 이익을 보고 있더라도 포지션이 강제로 청산될 수 있다. 특히 자동 디레버리징(Auto-Deleveraging, ADL) 시스템이 적용되는 시장에서는 이런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

디레버리징 청산의 원리: 왜 이익을 보는데도 청산될까?

디레버리징 청산이 발생하는 가장 큰 이유는 계약 상대방(반대 포지션)의 증거금 부족 때문이다.

예를 들어, 선물 시장에서 A와 B가 서로 반대 방향의 계약을 맺었다고 하자.

A는 롱(Long, 매수) 포지션을 잡았고,

B는 숏(Short, 매도) 포지션을 잡았다.


이 상황에서 시장이 급등하면 A는 수익을 보고, B는 손실을 본다.
그런데 B의 손실이 너무 커서 증거금을 다 날려버린다면?

거래소는 손실을 감당할 수 없는 계약을 정리하기 위해 A의 포지션을 강제 청산한다.
즉, A는 잘못한 게 없고, 수익을 보고 있었지만, 상대방(B)의 증거금이 부족해서 포지션이 자동으로 닫히는 것이다.


---

이익을 봐도 강제 청산이 되는 시스템의 특징

1. 자동 디레버리징(Auto-Deleveraging, ADL) 시스템

ADL 시스템은 상대방(반대 포지션)의 손실이 증거금 한도를 초과할 경우, 수익을 보고 있는 포지션을 강제 청산하는 메커니즘이다.

주로 암호화폐 선물 거래소(바이낸스, Bybit 등)에서 사용된다.


2. 거래소의 리스크 관리 정책

일부 거래소에서는 시장 변동성이 커질 경우, 특정 비율 이상의 수익이 난 포지션을 강제로 정리할 수 있다.

이는 거래소가 전체 시장 리스크를 통제하려는 조치이다.


3. 마진(증거금) 부족으로 인한 반대 포지션 청산

계약 상대방이 유지 증거금(Maintenance Margin)을 충족하지 못하면, 거래소는 손실을 보전하기 위해 수익을 보고 있는 반대 포지션을 청산할 수 있다.


4. 시장 유동성 부족 및 급격한 가격 변동

유동성이 낮거나 가격이 급등락할 경우, 거래소가 포지션을 정리하면서 이익을 보고 있는 포지션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



---

이익을 보고 있어도 청산되는 실제 사례

1. 암호화폐 선물 시장에서의 자동 디레버리징(ADL)

사례:

A는 비트코인 롱(Long) 포지션, B는 숏(Short) 포지션을 보유하고 있다.

비트코인 가격이 급등하면서 A는 50% 수익을 보게 되었고, 반대로 B는 큰 손실을 입었다.

그런데 B의 증거금이 모두 소진되었고, 추가 증거금을 납부하지 못했다.

거래소는 B의 포지션을 정리해야 하지만, 시장에 충분한 유동성이 없어서 A의 롱 포지션을 강제 청산하여 손실을 메꾼다.

A는 수익을 보고 있었지만, 강제 청산으로 인해 시장에서 퇴출당했다.


2. 마진 거래에서 유지 증거금 부족으로 인한 청산

사례:

C는 10배 레버리지로 주식을 매수하고 20%의 수익을 보고 있었다.

그러나 증권사가 유지 증거금 비율을 10%에서 15%로 변경했다.

C의 계좌에 추가 증거금이 부족하여 수익을 보고 있는 포지션이 강제 청산되었다.


3. 옵션 만기 및 자동 행사로 인한 강제 포지션 종료

사례:

D는 S&P 500 옵션 콜 계약을 매수해 100% 이상의 수익을 기록했다.

그러나 옵션이 만기일에 도달하면서, 거래소의 자동 행사 규칙에 따라 포지션이 강제 청산되었다.

D는 더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었지만, 시스템의 자동 청산 규칙 때문에 기회를 놓쳤다.



---

디레버리징 청산을 방지하는 방법

1. 레버리지를 신중하게 사용하기

과도한 레버리지는 변동성 확대 시 강제 청산의 위험을 높인다.

유지 증거금을 충분히 확보하고, 레버리지 비율을 낮추는 것이 중요하다.



2. 청산 규칙이 적용되는 시장을 피하기

자동 디레버리징(ADL) 시스템이 적용되는 플랫폼에서는 예상치 못한 청산이 발생할 수 있다.

시장 구조와 청산 규칙을 사전에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3. 위기 시 유동성을 충분히 확보하기

급격한 시장 변동이 발생할 경우, 추가 증거금을 납부할 수 있도록 현금을 충분히 확보해야 한다.



4. 시장 변동성이 큰 시기에 포지션 조정하기

변동성이 클 때는 포지션을 줄이거나, 헤지 전략을 사용하여 청산 리스크를 관리할 필요가 있다.





---

결론

이익을 보고 있더라도 디레버리징 청산(Deleveraging Liquidation)은 반대 포지션의 증거금 부족으로 인해 강제로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자동 디레버리징(ADL) 시스템이 적용되는 시장에서는, 손실을 본 투자자의 빚을 메우기 위해 수익을 보고 있는 투자자의 포지션이 청산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투자자의 의도와 무관하게 작동하며, 예측 불가능한 시장 상황에서 강제 청산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레버리지를 신중하게 사용하고, 유지 증거금을 충분히 확보하며, 거래소의 청산 규칙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반응형

댓글